제1일 (11/04) | |||||
---|---|---|---|---|---|
08:30 - 09:00 | 등록 | ||||
09:00 - 09:30 | 개막식 좌장:周云帆(Zhou Yunfan, 사회과학원) 축사:(중)王京清 (Wang Jingqing, 사회과학원) (한)서태열(한국연구재단) |
||||
09:30 - 10:00 | 기념촬영 | ||||
10:00 - 11:30 | 기조연설 |
(중) 谢地坤(Xie Dikun, 사회과학원) 전통에 뿌리를 두고, 바로 여기에 근거하여, 동아시아의 미래로 나아간다 |
|||
(한) 김근 (서강대) 人文學의 現代化 : 起源的 眞實로 돌아가기 | |||||
12:00 - 13:00 | 오찬 | ||||
13:00 - 14:50 | 분과 별 세션 발표Ⅰ | ||||
문학 | 충돌과 수용: 근대의 변혁과 전통의 계승 | ||||
좌장:刘宁 (Liu Ning, 사회과학원) | |||||
발표자 | (한) 노경희(울산대) | 토론자 | (중)刘倩(Liu Qian, 사회과학원) | ||
20세기초 일본인과 조선인의 「춘향전(春香傳)」 근대화 작업 | (한) 권호종 (경상대) | ||||
(중) 孙逊(Sun Xun, 상해사범대) | (중)刘勇强(Liu Yongqiang, 북경대) | ||||
한국의 한문소설, 동아시아 유학(儒學)의 역사적 연역과 현대적 사명 | (한) 민경욱 (경기대) | ||||
역사 | 한·중 전통 국가통치사상과 현대적 전환 | ||||
좌장:강명희 (한세대) | |||||
발표자 | (한) 정재훈 (경북대) | 토론자 | (중) 孙卫国(Sun Weiguo, 남개대) | ||
朝鮮과 明•淸의 國家統治 思想 比較硏究 | (한) 박장배 (동북아역사재단) | ||||
(중) 孙卫国(Sun Weiguo, 남개대) | (중) 王臻 (Wang Zhen, 천진사범대) | ||||
청조의 《명사(明史)》편찬과 조선의 반응 | (한) 홍성화 (부산대) | ||||
철학 | 경전문헌, 경학전통과 현대적 해석: 한·중 사상교류에서의 전통과 현대 | ||||
좌장: 정세근 (충북대) | |||||
발표자 | (한) 이동철 (용인대) | 토론자 | (중) 杨立华 (Yang Lihua, 북경대) | ||
조선후기 경학사(經學史)에서 맹자해석(孟子解釋)의 창의성 | (한) 안재호 (중앙대) | ||||
(중) 李存山 (Li Cunshan, 사회과학원) | (중) 张志强 (Zhang Zhiqiang, 사회과학원) | ||||
한·중 유학의 “성정지변” | (한) 강진석 (한국외대) | ||||
언어·교육 및 문화 | 한·중 양국 언어교육영역에서의 교류 및 협력의 현재와 전망 | ||||
좌장: 류동춘 (서강대) | |||||
발표자 | (한) 손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토론자 | (중) 王铁利(Wang Tieli, 사회과학원) | ||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한국 중등교육의 중국어 교육 위상 | (한) 김선아 (용인대) | ||||
(중) 卢荣和 (Lu Ronghe, 사회과학원) | (중) 王炜(Wang Wei, 사회과학원) | ||||
재중 유학생 교육의 초보적 연구 --유학생 기초과목 지도 예 |
(한) 이지은 (부산대) | ||||
세션 별 종합토론 | |||||
14:50 - 15:10 | 휴식 | ||||
15:10 - 17:30 | 분과 별 세션 발표 Ⅱ | ||||
문학 | 민간 및 풍속 문학 | ||||
좌장: 김종현 (동아대) | |||||
발표자 | (한) 강현조 (연세대) | 토론자 | (중) 杨早 (Yang Zhao, 사회과학원) | ||
한국 근대초기 대중서사의 한역(韓譯)과 중역(重譯), 그리고 번안(飜案)의 역사 - 1884년~1919년까지의 기간을 중심으로 | (한) 신정수 (한국학중앙연구원) | ||||
(중) 林继富(Lin Jifu, 중앙민족대) | (중) 安德明(An Deming, 사회과학원) | ||||
도시화 배경 속 중국 민간서사문학의 전승 및 대면한 문제점에 대한 연구 | (한) 하경심 (연세대) | ||||
역사 | 한·중 근대화 과정에서의 “전통”: 문화전통과 한·중 근대화의 길 비교 | ||||
좌장:王元周 (Wang Yuanzhou, 북경대) | |||||
발표자 | (한) 전인갑 (서강대) | 토론자 | (중) 李少兵(Li Shaobing, 남개대) | ||
韓•中 近代化 過程 속의 ‘傳統’ : ‘傳統’의 力動性과 近代的 再構成 | (한) 강명희 (한세대) | ||||
(중)李细珠 (Li Xizhu, 사회과학원) | (중)李花子(Li Huazi, 사회과학원) | ||||
한일합병이 청말 헌정개혁에 미친 영향 | (한) 전인갑 (서강대) | ||||
철학 | 철학의 구성과 동서양 문명: 한·중 철학 현대화의 길 비교 | ||||
좌장: 甘绍平 (Gan Shaoping, 사회과학원) | |||||
발표자 | (한) 장영란 (한국외대) | 토론자 | (중) 王齐(Wang Qi, 사회과학원) | ||
아리스토텔레스와 유가의 중용과 중화의 문제 | (한) 정상봉 (건국대) | ||||
(중) 赵敦华(Zhao Dunhua, 북경대) | (중)尚杰(Shang Jie, 사회과학원) | ||||
중국계몽의 발자취와 그 주요특징 | (한) 강진석 (한국외대) | ||||
언어·교육 및 문화 | 한·중양국의 “영화 및 방송 연구”에 대한 비교문화적 이해 | ||||
좌장: 朴光海 (Piao Guanghai, 사회과학원) | |||||
발표자 | (한) 임대근 (한국외대) | 토론자 | (중) 周颖昕(Zhou Yingxin , 사회과학원) | ||
한·중 영화 교류의 역사와 미래 | (한) 김영훈 (이화여대) | ||||
(중) 聂伟(Nie Wei, 상해대) | (중) 朴光海(Piao Guanghai, 사회과학원) | ||||
한•중 영화합작촬영: 문화유동(文化流動)과 영연상상(影緣想像) | (한) 이승희 (한양대) | ||||
세션 별 종합토론 | |||||
18:30 - | 만찬 | ||||
제2일 (11/05) | |||||
09:00 - 11:30 | 분과 별 세션 발표Ⅲ | ||||
문학 | 문학과 사회 | ||||
좌장: 董炳月 (Dong Bingyue, 사회과학원) | |||||
발표자 | (한) 박자영 (협성대) | 토론자 | (중) 周晓蕾(Zhou Xiaolei, 북경외대) | ||
한중 문화연구의 맥락 재론 -최근 한국문화연구계의 쟁점을 중심으로- |
(한) 정성은 (군산대) | ||||
(중) 赵维国(Zhao Weiguo, 상해사범대) | (중) 潘建国(Pan Jianguo, 북경대) | ||||
명과 청의 교체시기 조선 선비들의 심리상태와 “호란” 관련 한문소설의 창작 | (한) 민경욱 (경기대) | ||||
역사 | 동아시아사 관점에서 바라본 한·중 문화교류와 역사적 상호작용 | ||||
좌장: 김경호 (성균관대) | |||||
발표자 | (한) 박효은 (홍익대) | 토론자 | (중) 王元周(Wang Yuanzhou, 북경대) | ||
17-19세기 한국화가의 중국도시에 대한 인식과 그 표현 | (한) 유승민 (한국문화재청) | ||||
(중) 王飞峰(Wang Feifeng, 사회과학원) | (중) 宋成有(Song Chengyou, 북경대) | ||||
백제, 신라, 가야 지역에서 출토된 유리용기(玻璃器) 연구 | (한) 조윤재 (고려대) | ||||
철학 | 한·중불교전통과 현대성의 문제 | ||||
좌장: 정상봉 (건국대) | |||||
발표자 | (한) 장규언 (강남대) | 토론자 | (중) 洪军(Hong Jun, 사회과학원) | ||
무성유정론(無性有情論)의 쟁점과 철학적 함축-원측의 이해에 근거하여 | (한) 허인섭 (덕성여대) | ||||
(중)成建华(Cheng Jianhua, 사회과학원) | (중) 李建欣(Li Jianxin, 사회과학원) | ||||
인간 불교: 중국 불교의 현대성 소구 | (한) 박승현 (원광대) | ||||
언어·교육 및 문화 | 한·중 문화유산의 계승과 보호 | ||||
좌장:김영훈 (이화여대) | |||||
발표자 | (한) 이상열 (문화관광연구원) | 토론자 | (중) 刘强(Liu Qiang, 사회과학원) | ||
한국 문화유산정책의 변화와 전망 | (한) 이승희 (한양대) | ||||
(중) 王学荣(Wang Xuerong, 사회과학원) | (중) 袁宝龙(Yuan Baolong, 사회과학원) | ||||
중국 대형 유적지 및 대형 유적지 보호∙이용 | (한) 류동춘 (서강대) | ||||
세션 별 종합토론 | |||||
12:00 - 13:30 | 오찬 | ||||
13:30 - 15:50 | 분과 별 세션 발표Ⅳ | ||||
문학 | 교차된 시선:한·중 양국 문학연구자들의 상호인식 | ||||
좌장: 권호종 (경상대) | |||||
발표자 | (한) 문정진 (성결대) | 토론자 | (중) 谭佳(Tan Jia, 사회과학원) | ||
視線과 趨勢: 媒介•思惟•省察로서의 中國文學 | (한) 신정수(한국학중앙연구원) | ||||
(중) 孙歌(Sun Ge, 사회과학원) | (중) 董晨(Dong Chen, 청화대) | ||||
상호인식의 함의 | (한) 김종현 (동아대) | ||||
역사 | 고대 한·중 교류와 동아시아세계의 형성 | ||||
좌장: 卜宪群 (Bu Xianqun, 사회과학원) | |||||
발표자 | (한) 박장배 (동북아역사재단) | 토론자 | (중) 杨海英(Yang Haiying, 사회과학원) | ||
19세기 한·중 교통로와 주요 거점 | (한) 정재훈 (경북대) | ||||
(중) 孙泓(Sun Hong, 사회과학원) | (중) 李鸿宾(Li Hongbing, 중앙민족대) | ||||
유주자사묘의 묘주 신분에 대한 재고증 | (한) 김경호 (성균관대) | ||||
철학 | 동아시아 가치관과 현대세계 | ||||
좌장: 王齐 (Wang Qi, 사회과학원) | |||||
발표자 | (한) 이철승 (조선대) | 토론자 | (중) 孙春晨(Sun Chunchen, 사회과학원) | ||
현대 사회의 문제와 유가철학의 현실적 의의 - 도구적 인간관과 도덕적 인간관을 중심으로- | (한) 정세근 (충북대) | ||||
(중) 甘绍平(Gan Shaoping, 사회과학원) | (중) 田海平(Tian Haiping, 북경사범대) | ||||
동방가치, 유교가치, 녹색가치 | (한) 박승현 (원광대) | ||||
언어·교육 및 문화 | 한·중 양국의 전통문화연구에서의 현대 디지털 기술 운용 | ||||
좌장: 李楠 (Li Nan, 사회과학원) | |||||
발표자 | (한) 유동환 (건국대) | 토론자 | (중) 陈华珊(Chen Huashan, 사회과학원) | ||
한국 문화유산 정보화 현황과 디지털인문학 방법론의 적용 | (한) 이지은 (부산대) | ||||
(중) 周军兰(Zhou Junlan, 사회과학원) | 李楠 (Li Nan, 사회과학원) | ||||
무형문화유산 전파의 뉴미디어 응용 및 전략 분석 ——위챗 공식 계정을 예로 |
(한) 김선아 (용인대) | ||||
세션 별 종합토론 | |||||
16:10 - 17:10 | 공통세션 | 주제: 한·중인문학전통의 현대로의 전환과 현대세계 | |||
좌장:陆建德(Lu Jiande, 사회과학원) | |||||
중국측 토론자 | 张志强(Zhang Zhiqiang, 사회과학원) | ||||
宋成有(Song Chengyou, 북경대) | |||||
한국측 토론자 | 조병한 (서강대) | ||||
임형택 (성균관대) | |||||
17:20 - 17:50 | 폐회식 축사: (중) 谢地坤(Xie Dikun, 사회과학원) (한) 위행복 (한국인문학총연합회 회장) |
||||
18:30 - | 특별만찬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