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공감 사람과 삶, 세상을 잇는 인문학
;
home인문학알리미사업개요
사업개요

[8기 1강] 한국과 중국의 북방사 인식
강좌바로가기
저자 김정배 출판 세창출판사 출판일 2018년 2월 28일
북방의 고구려와 발해 역사는 바로 우리나라의 역사이다. 따라서 우리는 고구려와 발해의 역사를 연구하고 유적과 유물을 보며 문화의 향기를 얻고자 한다. 필자는 중국의 동북공정에 맞서 고구려연구재단을 맡으면서 중국, 러시아, 북한을 다니며 답사와 발굴을 하기도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의 내용은 필자가 기록해야 할 최소한의 의무이자 책임이다.
최근 고구려와 발해의 역사를 놓고 우리나라와 중국의 학자들이 논쟁을 하였고, 앞으로도 토론이 이어질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국민들에게 역사 정통성에 충격을 던진 ‘동북공정’은 학술도 학문도 아닌 정치적 책략이다. 지도자와 국민들이 역사를 지키려고 정신을 똑바로 차리고 있으면 어느 나라도 우리나라 역사를 넘보지 않는다. 또 그러한 기개가 나라 안팎에 흘러넘쳐 있어야 한다. 역사에서는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이 민족과 국가를 연결시키는 고리 역할을 한다. 연결고리가 튼튼한 역사는 부강한 나라의 상징이다.
 
목차
_ 책을 열며 ·5

제1장 한국사와 북방사
1. 북방사의 의미·13
2. 정통 역사체계의 붕괴·15

제2장 발해사 인식과 발해유적 조사
제1절 한국과 중국의 발해사 인식
1. 한국의 발해사 인식과 그 범위·21
2. 중국 학계의 발해사 인식 문제·24
제2절 발해사의 기본 사료와 쟁점
1. 『구당서』의 말갈과 발해말갈·29
2. 『신당서』의 흑수말갈과 발해·36
3. 발해사는 한국사인가, 중국사인가·42
4. 발해의 주민 구성 문제·54
5. 일본의 발해사료와 『신당서』의 해동성국·62
제3절 러시아 연해주 발해유적 조사와 발굴
1. 발해사를 위한 고고학 발굴의 필요성·72
2. 대륙연구소의 중국과 연해주 발해유적 조사·76
3. 러시아 연해주의 발해유적 발굴·91
4. 북한 학자들의 발해유적 발굴 참여·103
5.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터 발굴·110

제3장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논쟁
제1절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1. 동북공정의 출현과 그 의미·125
2. 중국의 고구려 역사관 변천 과정·138
3. 통일적 다민족국가론(統一的 多民族國家論)과 고구려·151
제2절 고구려사 논쟁과 고구려연구재단의 출범
1. 고구려연구재단의 설립 과정·165
2. 재단이사와 연구원 구성·171
3. 고구려연구재단의 정책방향·177
4. 중국사서에 ‘고구려본기’(高句麗本紀)는 없다·182
5. ‘동북공정’상의 고구려사 논쟁점·188
제3절 중국·북한과의 ‘동북공정’ 학술회의와 유적 조사
1. 중국변강사지연구중심과의 학술회의·200
2. 북한 사회과학원과의 학술교류·218
 1) 북한 역사연구소와의 학술회의·218
 2)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학술회의·220
 3) 고구려 벽화고분과 백두산 정계비 터·230
 4) 평양 안학궁 조사와 발굴·245

제4장 삼국통일론과 남북국시대론
1. 삼국통일론과 동북공정·261
2. 북한의 후기신라론·270
3. 남북국시대론의 허와 실·275

_ 책을 나오며·282
_ 찾아보기·286
 
책내용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