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공감 사람과 삶, 세상을 잇는 인문학
;
home인문학알리미사업개요
사업개요

[9기 3강] - 시와 언어문화: 우리 시가 들려주는 사람의 방식 몇 가지
강좌바로가기
저자 김대행 출판 역락출판사 출판일 2018년 5월 21일
이 책은 사람은 누구나 개인적 존재이면서 사회적 존재이고 그러므로 실존적 존재로서 삶을 기획하고 실천합니다. 그 길을 수행하는 도구가 바로 언어입니다. 따라서 언어는 도구를 넘어서서 삶의 본질이기도 합니다. 탐구하고 소통하고 꿈꾸는 삶의 실상을 언어문화는 확연하게 드러내 줍니다. 이 책은 ‘삶의 방식’을 재현하면서 창조하는 시와 언어문화에 초점을 맞춥니다. 또한 시와 언어문화를 깊숙하게 들여다보되 공교로움이나 빼어남 혹은 놀라움보다도 보편적이고 이상적인 사람의 모습이며 길에 대한 암시를 얻어내는 데에 더 주목했습니다. 시와 언어문화가 그 모습을 선명하게 보여줍니다.
 
목차
-목차-
생각과 감사 / 5

제1장 시와 삶의 방식 서설
1. 시 읽기의 두 길 13
가. 마음 읽어내기 14
나. 설명 암기하기 18
2. 시를 ‘언어문화’로 보기 22
가. 문화와 언어문화 22
나. 시와 언어문화 23
다. ‘언어문화’라는 용어 25
3. 시의 두 바퀴 27
가. 창조와 재현의 두 요소 28
나. 창조와 재현의 거리 34
다. 창조와 재현의 이론적 근거 35
4. 언어문화와 인간 이해 38
가. 인간, 언어적 존재 38
나. 삶의 세 국면 42
다. 인문론적 시론을 위하여 47

제2장 탐구의 시와 언어문화
1. 개인적 존재:탐구하는 삶 53
가. 시와 탐구 53
나. 인간과 탐구 59
2. 지식 탐구 66
가. 정체성 탐구 66
나. 다의성 탐구 71
다. 모순성 탐구 80
3. 언어 탐구 86
가. 간결성 탐구 86
나. 율동성 탐구 92
다. 변형성 탐구 102

제3장 소통의 시와 언어문화
1. 사회적 존재:소통하는 삶 111
가. 인간과 소통 111
나. 시와 소통 116
2. 공동체적 소통 123
가. 기억공동체적 소통 124
나. 생활공동체적 소통 131
다. 운명공동체적 소통 138
3. 공감적 소통 144
가. 동병상련(同病相憐)의 공감 145
나. 이심전심(以心傳心)의 공감 153
다. 관계형성(關係形成)의 공감 162

제4장 꿈꾸기의 시와 언어문화
1. 실존적 존재:꿈꾸는 인간 173
가. 인간과 꿈꾸기 173
나. 시와 꿈꾸기 177
2. 꿈꾸기의 구조 185
가. 건너편 바라보기 185
나. ‘만약에’로 꿈꾸기 192
다. 창과 방패 아우르기의 꿈 201
3. 꿈의 어법 214
가. 다짐과 자기암시 214
나. 호소와 기도 221
다. 폭로와 풍자 229

제5장 시와 언어문화의 내면 풍경
1. 탐구 언어문화의 내면 풍경 239
가. 지식 탐구 언어문화의 옆모습 239
나. 언어 탐구 언어문화의 옆모습 244
2. 소통 언어문화의 내면 풍경 253
가. 공동체적 소통 언어문화의 옆모습 253
나. 공감적 소통 언어문화의 옆모습 263
3. 꿈꾸기 언어문화의 내면 풍경 274
가. 꿈의 구조 언어문화의 옆모습 274
나. 꿈 표현 언어문화의 옆모습 281

제6장 시와 언어문화 그리고 21세기
1. 폭발의 시와 역사의 언어문화 291
가. 동어반복의 재음미 292
나. 시와 언어문화의 거리 294
다. 폭발의 시와 역사의 언어문화 301
2. 21세기의 시와 언어문화 309
가. 과학 시대의 삶 바라보기 310
나. 인본주의 혁명 시기의 모순적 삶 312
다. 21세기의 종교 전망과 매체교의 그림자 317
라. 21세기의 삶 그리고 시와 언어문화의 과제 320
3. 매체종교 시대의 시와 언어문화 교육 325
가. 시와 언어문화 교육의 지표 326
나. 시와 언어문화교육의 네 영역과 방법 333

참고문헌 / 345
찾아보기 / 349
 
책내용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