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소개
인문주간
석학인문강좌
온라인인문강좌
인문학알리미
찾아오시는길
∧
TOP
사업소개
위원회 소개
석학인문강좌
석학인문총서
강연장
Gallery
;
>
인문학알리미
>
사업개요
[10기 3강] 새로운 작품 읽기 방법
강좌바로가기
저자
최유찬
출판
세창출판사
출판일
2018년 7월 10일
이 책은 여러 장르 중에서도 특히 문학작품을 중요한 고찰 대상으로 삼아 작품 읽기 방법을 소개한다. 여기서 제시하는 읽기 방법은 어찌 보면 가장 새롭다기보다 인류에게 가장 오래되고 가장 근간이 되는 읽기 방법이다. 인간이 살아가면서 마주치는 특정한 상황이나 텍스트, 작품에 대해서 느끼고 파악하고 인식하는 방법 가운데 가장 원초적이고 가장 직접적인 ‘새로운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서론·4
제1장 우리는 작품을 어떻게 읽는가?
1. 작품과 텍스트·20
2. 읽기·27
제2장 디지털 시대 텍스트 지각방식
1. 「삼국지」 게임과 『토지』 읽기·48
2. 소설 이론과 읽기 방법·58
제3장 작품의 특성에 따른 여러 가지 읽기 방법
1. 「아침의 문」 ― 플롯의 대응 형태·82
2. 「새벽 출정」 ― 형이상학적 특질·90
3. 『타이스』 ― 모래시계의 패턴·95
4.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 공포의 형상·100
5. 『고요한 돈강』 ― 움직이는 상(象)·107
6. 『비명을 찾아서』 ― 알레고리의 지도·113
7. 요약·120
제4장 빅뱅의 사건으로서 『토지』읽기 Ⅰ
1. 『토지』의 씨앗과 틀·132
2. 『토지』의 리듬과 운동성·151
1) 1부 ― 솟구침의 운동성·156
2) 2부 ― 펼쳐짐의 운동성·165
3) 3부 ― 영글게 하여 거두는 운동성·172
4) 4부와 5부 ― 저장하는 운동성·177
5) 『토지』의 전체 리듬·183
제5장 빅뱅의 사건으로서 『토지』읽기 Ⅱ
1. 작품의 통일성과 관심의 통일·204
2. 인물론·224
3. 주제사상·240
제6장 채만식의 작품 읽기
1. 문학적 실험의 발단·255
2. 채만식 문학의 기본 형태·260
3. 전체 구조의 직관·291
4. 장편소설의 전체상·301
제7장 해방기 채만식의 작품 읽기
1. 「민족의 죄인」과 『갈릴레이의 생애』·319
2. 「소년은 자란다」의 알레고리·344
3. 채만식의 방법·361
_ 찾아보기·371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