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공감 사람과 삶, 세상을 잇는 인문학
;
home인문학알리미사업개요
사업개요

석학인문강좌 > 석학인문총서

[10기 5강] 바로크 시대의 시민 미술
강좌바로가기
저자 이한순 출판 세창출판사 출판일 2018년 8월 24일
17세기 네덜란드 황금기의 회화를 통해 보는 바로크 시대의 다채로운 시민 미술!

17세기 바로크 시대는 '네덜란드의 황금시대(Dutch Golden Age)'라 불린다. 그만큼 정치, 경제, 사회, 종교, 학문, 예술의 제 분야에 걸쳐 화려한 꽃을 피웠고 근현대를 위한 기반을 구축한 시대이다. 작은 땅에 비해 사람은 많고 천연자원이 그리 풍부하지 않음에도 유럽의 경제국가 대열에서 선두자리를 거의 놓치지 않는 강소국 네덜란드, 그 비결은 무엇일까?
이 시기의 미술은 네덜란드 고유의 정체성을 가장 잘 드러낸다는 이유에서도 흥미롭지만, 단순히 감상하기에도 재미있고 감동을 주는 수준높은 작품들이 많다. 서구의 미술사학계나 문화계에서 항상 주된 관심의 대상으로서 고정된 자리를 차지해 왔기에 이 시기의 시민 미술을 살펴보는 것은 네덜란드라는 강소국을 이해하는 데 결정적이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시각 문화에 관한 글이다.
 
목차
차 례

_ 머리글·4

I. 역사적 문맥·11

II. 직업과 신분의식: 렘브란트의 그룹초상화·41

III. 프로테스탄트 배우자관과 이미지 메이킹: 렘브란트의 부부 초상화·69

IV. 가족의 이상과 자부심: 메이튼스의 가족 초상화·95

V. 연극의 가르침과 즐거움: 스테인의 장르화·131

VI. 식물학과 꽃 수집 문화: 초기의 꽃정물화·169

VII. 문화적 헤게모니와 다원성: 판 호연의 사실주의 풍경화·197

VIII. 전통과 재창조: 밤보찬티의 이탈리아풍 풍경화·227

IX. 네덜란드 개혁교회와 시각예술: 드 비터의 교회 실내 회화·261

_ 참고 문헌·297
_ 도판 목록·321
_ 찾아보기·331
 
책내용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