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공감 사람과 삶, 세상을 잇는 인문학
;
home인문학알리미사업개요
사업개요

석학인문강좌 > 석학인문총서

[10기 2강] 일상의 철학
강좌바로가기
저자 강연안 출판 세창출판사 출판일 2018년 10월 15일
일상은 우리의 삶의 장소이고, 삶의 시간이며, 삶의 통로이다. 너무나 익숙하고 날마다 반복되는 일상을 떠나 신나고 즐거운 삶을 누구나 꿈꾸지만 어디를 가나 일상은 우리를 어김없이 찾아온다. 이 땅에 사는 동안 우리 인간은 일상을 떠날 수 없다. 일상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삶을 살아가는 시간이며 삶의 통로이며 삶의 공간이다. 인간은 일상을 통해서 삶을 살아간다.
이 책은 평범하지만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일상을 먹고 마시고, 일하고 쉬고, 집 짓고 잠자고, 옷 입고, 타인과 함께 살아가는 현상을 통하여 그려 낸다.
“캐묻지 않는 삶은 사람에게 살 만한 가치가 없다”는 소크라테스의 말이 보여 주듯이 철학은 소크라테스 이후 삶에 늘 관심을 가졌으나 이때의 삶은 몸으로, 일시적으로, 한 개체로 살아가는 삶이기보다는 영혼과 보편, 그리고 영원과 연관된 삶을 염두에 둔 것이었다. 이 책은 우리가 신체로, 지금, 여기서 살아가는 구체적인 삶을 대상으로 삼아 우리의 일상에 무엇이 일어나며 일상 속에서 하는 행위들이 무슨 의미가 있으며 일상과 관련된 행위들을 어떻게 해야 제대로 하는 것인지를 자세히 들여다본다. 자세히 들여다보는 일은 끊임없이 묻고 또 묻고 다시 묻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를 통해 인간은 몸을 가진 개체이며 시간과 공간 속에서 타인과 함께 웃고 울며, 희망하며 절망하기도 하며 살아가는 존재임이 드러난다.
 
목차

_ 서문·4

제1강 일상의 성격과 조건

 1. 물음으로 등장하는 일상·25
 2. 철학은 삶과 무슨 관계가 있는가?·29
 3. 일상의 성격과 인간이 처한 조건·56
  1) 일상의 필연성·57
  2) 일상의 유사성·59
  3) 일상의 반복성·61
  4) 일상의 평범성·64
  5) 일상의 일시성·66
 4. 일상 속에서의 행복과 불행·80
 5. 일상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90

제2강 먹고, 자고, 집 짓고 산다는 것

 1. 먹고 마시고, 잠자고, 거주함의 현상·99
 2. 먹고, 자고, 집 짓고 살아가는 것의 의미·120
 3. 먹고, 자고, 집 짓고 사는 것의 윤리·141

제2강 보충 옷을 입는다는 것
 1. 옷 입음의 현상·158
 2. 옷 입음의 의미·170
 3. 옷 입음의 윤리·179

제3강 일과 쉼, 그리고 타인의 존재

 1. 일한다는 것·189
  1) 일의 현상·189
  2) 일의 의미·198
  3) 일의 윤리·207
 2. 쉰다는 것·213
  1) 쉼의 현상·214
  2) 쉼의 의미·223
  3) 쉼의 윤리·235
 3. 타자의 존재·239
  1) 타자의 현상·240
  2) 타자의 의미·251
  3) 타자와 함께하는 윤리, 타자를 위한 윤리·260

제3강 보충 얼굴을 가진다는 것
 1. 얼굴의 현상·273
 2. 얼굴의 의미·285
 3. 얼굴의 윤리·295

제4강 토론 및 질의 응답

 1. 김기봉 교수와 토론·303
 2. 청중 질문과 답변·324

_ 참고문헌·346

_ 기존 매체에 실린 글들의 출처·354

_ 찾아보기·357
 
책내용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