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공감 사람과 삶, 세상을 잇는 인문학
home석학인문강좌석학인문강좌
사업개요

석학인문강좌

7기 3강
 
강좌명 한글
도서바로가기
홍윤표
국립한글박물관 위원장 [국어학]
 
일자 세부주제 강연보기
2014.05.31 훈민정의의 창제까지 [수정] [삭제] 1부 2부
2014.06.07 언어문화적 측면에서 본 한글의 변화 [수정] [삭제] 1부 2부
2014.06.14 선조들 생활 속의 한글 [수정] [삭제] 1부 2부
2014.06.21 종합토론 [수정] [삭제] 1부 2부
기관 한국연구재단 강좌시간 15:00 ~ 17:00 지역 서울
연락처 장소 서초구민회관 강당
 
강연자 소개

학력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박사)

경력
전북대, 단국대, 연세대 교수 역임
연세대학교 교수 정년퇴임
한국어전산학회 회장
국어사학회 회장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장
국어심의회 정보화 분과 위원장
한국어학회 회장
국어학회 회장
국어심의회 언어정책분과위원장, 국어심의회전체 부위원장
한국사전학회 회장
겨레말큰사전 남측편찬위원장
국립한글박물관 개관위원장 등

대표저서
『국어사 문헌자료 연구(I) -근대편 1-』, 태학사
『근대국어 연구(I)』, 태학사
『17세기 국어사전』(공저), 태학사
『조선후기 한자어휘 검색사전』(공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어와 정보화』(공편), 태학사
『살아있는 우리말의 역사』, 태학사
『한글이야기(1)(2)』, 태학사 등

수상내역
동숭학술연구상 수상
세종학술상 수상
일석 국어학상 수상

 
강연요지

이 강의는 한글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를 찾아보고, 훈민정음 창제 이전부터 훈민정음이 창제되기까지의 우리나라 문자생활과 창제 이후의 문자생활을 살펴봐 훈민정음 창제의 필연성을 제시한다. 또한, 훈민정음이 과학적으로 만들어졌다는 증거를 창제원리를 통해 증명하고, 훈민정음, 곧 한글이 변천해 온 과정과 그것이 운영되어 온 과정을 살핀다. 뿐만 아니라 한글이 우리 문화, 사회, 민족과 어떠한 관계에 있으며 문화 속에서 어떻게 사용되어 왔는가를 살펴서 앞으로 우리가 한글을 어떻게 운용하여야 할 것인가를 제시한다.

1주차 : 훈민정음의 창제까지
1. 말과 문자와 문화의 관계
2. 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문자생활
3. 훈민정음 창제의 역사적 필연성
4. 훈민정음의 의미
5. 훈민정음 창제의 원리와 그 과학성

2주차 : 언어문화적 측면에서 본 한글의 변화
1. 명칭의 변화
2. 자모의 변화
3. 한글 어문규범의 제정
4. 국한 혼용에서 한글 전용으로
5. 세로쓰기에서 가로쓰기로
6. 띄어쓰지 않기에서 띄어쓰기로
7. 선과 점과 원의 변화
8. 한글의 과학화

3주차 : 선조들 생활 속의 한글
1. 음악과 한글
2. 그림과 한글
3. 관혼상제와 한글
4. 생활과 한글
5. 종교와 한글
6. 놀이와 한글 3강 : 선조들 생활 속의 한글
1. 음악과 한글
2. 그림과 한글
3. 관혼상제와 한글
4. 생활과 한글
5. 종교와 한글
6. 놀이와 한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