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공감 사람과 삶, 세상을 잇는 인문학
home석학인문강좌석학인문강좌
사업개요

석학인문강좌

1기 3강
 
강좌명 자유, 평등, 상생 및 사회발전
도서바로가기
이근식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경제학]
 
일자 세부주제 강연보기
2007.12.22 1주 자유와 자유주의 [수정] [삭제] 1부
2007.12.29 2주 평등의 세 가지 의미 [수정] [삭제] 1부
2008.01.05 3주 상생의 원리 [수정] [삭제] 1부
2008.01.12 4주 사회발전의 의미와 방법 [수정] [삭제] 1부
2008.01.19 5주 종합토론 [수정] [삭제] 1부 2부
기관 강좌시간 지역 서울
연락처 장소
 
강연자 소개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학사과정을 졸업하고 이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석사학위, 미국 Univ. of Maryland 에서 거시경제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국제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 한신대학 조교수, 서울시립대학 교수, 서울시립대 경상대학장에 차례대로 재직했다. 또한 <시민의 신문> 편집위원장,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의 초대정책위원장와 공동대표를 역임했다. 현재는 서울시립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 (사)한국자유주의연구학회 이사장을맡고 있다.

저서로는 『서독의 질서자유쥬의: 오위켄과 뢰프케』(07, 기파랑, 공저), 『자유주의와 한국사회 ; 존 스튜어트 밀에 대한 재조명』(07, 철학과 현실사), 『존 스튜어트 밀이 진보적 자유주의』(06, 기파랑), 『애덤 스미스의 고전적 자유주의』(06, 기파랑), 『자유와 상생: 새로운 시대정신을 찾아서』(05, 기파랑, 공저), 『자유주의의 원류』(01, 삼성경제연구소, 공저), 『자유주의란 무엇인가』(01, 시민의신문사, 공저), 『경실련 한국사회 비전21』(01,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경제원론B』(99, 한길사), 『자유주의 사회경제사상』(98, 서울대학교 출판부), 『IMF 체제의 사회과학적 진단』(98, 삼성경제연구소), 『IMF사태의 원인과 교훈』(97, 심지, 공저), 『민족의 화해와 통일을 위하여』(95, 한울아카데미), 『한국경제의 새 패러다임 모색』(95, 나남출판), 『한국의 도전과 선택』(94, 한국조세연구원), 『재정금융정책과 자유주의사상』(92, 태진출판사), 『한국경제정책의 평가와 전망』(90, 아산사회복지재단), 『현대한국의 사회윤리』(89, 비봉출판사), 『땅: 투기의 대상인가 삶의 터전인가』(88, 비봉출판사), 『제3세계의 경제발전론』(87, 박영사), 『국가발전의 사회과학』(87, 비봉출판사), 『韓國經濟의 理解』(85, 한국방송통신대학), 『경제학개론』(79, 산업연구원 ‘국제경제연구원’) 등이 있다.

 
강연요지

사회과학을 공부하는 것은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함이며, 좋은 사회란 자유, 평등 그리고 상생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사회라고 볼 수 있다.

이 강좌에서 자유, 평등, 그리고 상생이란 무엇이며 이를 어떻게 실현할 수 있을지를 생각해 본다. 아울러 이 강좌는 인간성의 핵심은 윤리의식에 있다고 보고, 과학에서 가치판단을 배제하여야 한다는 과학실증주의를 배격하고, 건강한 윤리의식에 입각한 건전한 가치판단을 견지할 것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