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공감 사람과 삶, 세상을 잇는 인문학
home석학인문강좌석학인문강좌
사업개요

석학인문강좌

10기 1강
 
강좌명 퇴계와 율곡: 선비상의 두 모델
도서바로가기
윤사순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한국철학]
 
일자 세부주제 강연보기
2017.05.19 퇴계와 율곡: 선비상의 두 모델 [수정] [삭제]
기관 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 강좌시간 15:00 ~ 17:00 지역 서울
연락처 장소 성균관대학교 600주년 기념관 6층 첨단강의실
 
강연자 소개

고려대학교 학사과정을 졸업하고 이어 고려대학교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고려대 강사, 조교수, 부교수, 교수에 차례대로 재직했고 와세다대학 연구교수를 지냈다. 한국공자학회 회장, 한국동양철학회 회장 및 한국철학회 회장직을 맡았다. 국제유학연합회(북경소재) 부회장 겸 이사직 및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원장으로도 활동했다. 현재는 중국사회과학원 명예교수 겸 고려대학교 명예교수이고,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다.

저서로는 『조선, 도덕(道德)의 성찰』(10, 돌베개),『실학의 철학적 특성』(08, 나남출판사), 『유학의 현대적 가용성 탐구』(06, 나남출판사), 『韓國儒學硏究』(98, 北京大 韓國學硏究中心), 『Critical Issuese in Neo-Confucian Thought』(90, 고려대 출판부), 『한국유학사상론』(86, 열음사), 『퇴계철학의 연구』(80, 고려대 출판부) 등이 있다.

 
강연요지

조선 최고의 유학자이자 성리학의 양대산맥이라고 불리우는 퇴계 이황과 와 율곡 이이는 16세기 문화의 주역이였으며, 조선시대 선비들의 개괄적이고 총괄적인 대비 방법을 적용하기 좋은 예가 된다.

이번 강의를 통해 16세기 선비들의 대표적인 퇴계와 율곡을 통해 그들이 가진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선비들의 인간상을 두 모델로 두가지 모형을 알아보고자 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