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공감 사람과 삶, 세상을 잇는 인문학
home석학인문강좌석학인문강좌
사업개요

석학인문강좌

10기 5강
 
강좌명 17세기 네덜란드 미술과 시민문화
도서바로가기
이한순
홍익대학교 교수 [서양미술사]
 
일자 세부주제 강연보기
2017.10.30 17세기 네덜란드 미술과 시민문화 [수정] [삭제]
기관 연세대학교 강좌시간 15:00 ~ 17:00 지역 강원
연락처 장소 연세대(원주) 청송관 129호
 
강연자 소개

◇ 학력
암스테르담 시립대학 미술사학과 (學士, 碩士)
프랑크푸르트 괴테 대학 미술사학과 (博士)


◇ 경력
2001. 3. - 현재 홍익대학교 교수
2005. 6. - 2007. 5. 서양미술사학회 회장
2007. 7. - 2008. 7. 제4기 박물관미술관 학예사운영위원회 운영위원
2009. 9. - 2011. 8. 한국미술사교육학회 회장
2012. 3. - 2016. 2 홍익대학교 박물관장
2014. 3. - 현재 홍익대학교 문화예술평생교육원장
2016. 3 – 현재 홍익대학교 동아시아예술문화연구소 소장


◇ 주요저서
<논문>
- 「자연 속의 성서이야기: 니콜라 푸생의 기독교 풍경화」, 『미술사연구』, 27 (2013. 12), pp.35-59
- 「수용자 맥락에서 보는 성화: 카라바조의 체라시 경당 연작 연구」, 『미술사학보』, 39 (2012. 12), pp. 261-293.
- 「렘브란트 판 레인의 <니콜라스 튈프 박사의 해부학 수업>에 표현된 직업의식」, 『미술사학』 21 (2007), pp. 155-181
- 「안트베르펀의 루벤스 집과 화가의 자부심」, 『시각문화의 전통과 해석』, 예경 2007, pp. 635-653
- 「레오나르도 다빈치와 성안나 삼대의 도상학적 의미」, 『미술사와 시각문화』 3 (2004), pp. 204-233

<저 서>
『르네상스, 바로크, 로코코. 근세유럽의 미술사 2』, 미진사 2015
『르네상스, 바로크, 로코코. 근세유럽의 미술사』, 서울하우스 2010

<역 서>
에르빈 파노프스키, 『도상해석학 연구』, 시공사, 2002
에케하르트 캐멀링 편집, 『도상학과 도상해석학』, 사계절, 1997

 
강연요지

유럽 역사에서 17세기는 절대군주의 시대로 알려져 있다. 특이하게도 네덜란드는 당시 역사상 유례없는 황금기를 구가하면서도 여타 유럽과 다른 정치, 종교, 경제와 사회 여건을 갖추고 있었다. 시민이 주체가 된 공화국 체제를 갖추고 있었다는 얘기다. 이처럼 독특한 상황에서 풍요롭게 꽃핀 네덜란드의 미술은 시대적으로나 지역적으로 유사한 현상을 찾을 수 없는 고유한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요컨대 17세기 시민문화의 결정체인 것이다. 본 강의의 목적은 바로 이러한 문화현상의 특징을 살펴보며 그 의미를 해석하고 오늘날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를 짚어보는 데 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