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공감 사람과 삶, 세상을 잇는 인문학
home석학인문강좌석학인문강좌
사업개요

석학인문강좌

10기 2강
 
강좌명 18세기, 광장과 협치의 지평을 열다
2017 인문주간
개막식 청춘인문강좌(10월 27일)
 
일자 세부주제 강연보기
2017.10.27 18세기, 광장과 성찰의 지평을 열다 [수정] [삭제]
기관 주최: 교육부, 주관: 한국연구재단 강좌시간 11:00 ~ 13:00 지역 서울
연락처 장소 한양대학교 HIT(한양종합기술연구원) 대회의실
 
강연자 소개

사회자
이정민 KBS 아나운서
ㅇ 학력
- 동국대학교 광고홍보학, 학사

ㅇ 활동
- KBS 31기 공채 아나운서

ㅇ 수상
- 2011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



출연진
신병주 건국대 교수
ㅇ 학력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졸업(석사, 박사)

ㅇ 활동
서울대학교 규장각 학예연구사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건립 전문위원
조선시대사학회 총무이사
남명학연구원 상임연구위원
KBS 역사스페셜, 한국사전 자문위원
KBS 역사저널 그날, 글로벌 한국사 그날 세계는 진행

ㅇ 저서
조선과 만나는 법, 조선평전, 조선을 움직인 사건들, 조선후기를 움직인 사건들, 기록문화의 꽃 의궤

ㅇ 수상
대한민국 국민훈장 포장(2013년)
건국대학교 총동창회 특별공로상(2014년)


이원복 덕성여대 총장
ㅇ 학력
서울대학교 건축공학
독일 뮌스터대학교 시각디자인 디플롬
독일 뮌스터대학교 서양미술사 석사

ㅇ 활동
덕성여자대학교 예술대학장/석좌교수/총장
한국국제교류재단 문화나눔대사
경찰청 외사자문위원회 위원장
중앙일보 1090 평화와 통일운동 이사
前 법무부 정책위원회 위원장
前 2016 대한민국 인성교육대상위원회 위원장

ㅇ 저서
먼나라 이웃나라 전 15권
신의나라 인간나라 전 3권
가로세로 세계사 전 3권
와인의 세계, 세계의 와인 전 2권
먼나라 이웃나라 한국편
(KF 한국문화홍보를 위한 다개국어 번역본)

ㅇ 수상
한국도서잡지 윤리 위원회 금상 수상 (1978)
이탈리아 볼로냐아동도서전 원화전
'올해의 일러스트레이터' 22인 선정(한국인 최초) (1982)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금상 수상 (1989)
한국색동회 제정 눈솔상 수상 (1993)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간행물 윤리상 (1994)


류근 시인
ㅇ 학력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박사 수료

ㅇ 활동
문화일보 신춘문예 당선
고추농사
KBS1 <역사저널 그날>출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출강

ㅇ 저서
시집 <상처적 체질>, <어떻게든 이별> 산문집 <사랑이 다시 내게 말을 거네>, <싸나희 순정> 外

 
강연요지

18세기, 전 세계는 변화와 중흥의 시대를 맞고 있었다.
조선에서는 붕당정치를 종식하기 위해 영조의 탕평책이 실시되었고, 정조는 금난전권을 폐지해 상공업을 발전시키는 한편 규장각을 통해 문예 중흥을 꾀하는 등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고 있었다.
그런가 하면 유럽에서는 절대왕정에서 시민혁명으로 이어지는 대변혁이 일어나고 있었고 산업혁명과 계몽주의가 풍미하면서 새로운 시대가 열리고 있었다.
청나라 역시, 중국 역사상 가장 크게 영토를 확장하는가 하면 정치 문화적으로 최고의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었다.
그리고 조선과 유럽, 중국 모두에게는 개혁과 변화를 통해 중흥과 번영의 역사를 이끌어낸 최고의 리더들이 있었다. 조선에는 영조를 계승한 정조가 있었고 유럽에서는 프리드리히 2세, 마리아 테리지아, 예카테리나 2세와 같은 계몽전제군주들이 등장했으며 청나라에는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가 탄생했다.
2017년 인문주간에서는 18세기 개혁과 번영을 이뤄낼 수 있었던 조선과 유럽, 청나라 리더들의 철학을 엿보는 한편 정조시대의 격쟁과 상언, 프랑스 혁명에서 민(民)의 목소리가 펼쳐졌던 광장, 그리고 협치의 새로운 시대가 열리는 현장을 찾아보고 한다.

- 격동과 변혁의 시대였던 18세기를 이끈 리더와 이러한 시대가 어떻게 계승되었는지 살펴본다.
- 조선의 격쟁과 상언, 프랑스 혁명을 이끌었던 광장의 역할 등 소통과 협치의 가능성을 통해 민(民)의 시대가 열리는 과정을 찾아본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