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공감 사람과 삶, 세상을 잇는 인문학
home석학인문강좌석학인문강좌
사업개요

석학인문강좌

10기 1강
 
강좌명 세종시대에서 배우는 소통과 포용의 리더십
신병주
건국대학교 교수 [역사학]
 
일자 세부주제 강연보기
2017.11.08 세종시대에서 배우는 소통과 포용의 리더십 [수정] [삭제]
기관 한국연구재단 강좌시간 13:30 ~ 15:30 지역 서울
연락처 장소 서울교육대학교 종합문화관
 
강연자 소개

◇ 학력
서울대 국사학과 (학사)
서울대 대학원 국사학 (석·박사)

◇ 경력
서울대학교 규장각 학예연구사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건립 전문위원
조선시대사학회 총무이사
남명학연구원 상임연구위원
KBS 역사스페셜, 한국사전 자문위원
KBS 역사저널 그날, 글로벌 한국사 그날 세계는 진행

◇ 주요저서
『조선과 만나는 법』, 『조선평전』, 『조선을 움직인 사건들』, 『조선후기를 움직인 사건들』, 『기록문화의 꽃 의궤』

◇ 수상내역
2013년 대한민국 국민훈장 포장
2014년 건국대학교 총동창회 특별공로상

 
강연요지

왕으로서 정치가로서 세종의 위대함을 부인하는 한국인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우리의 문자인 훈민정음의 창제를 비롯하여, 백성들을 위한 『농사직설』, 『향약집성방』 등의 농서와 의서 간행, 천재 과학자 장영실의 발탁과 해시계・자격루・측우기 등의 각종 과학기구들의 발명, 박연으로 대표되는 궁중 음악의 완성 등 세종대의 찬란한 민족문화의 성과들은 나열하기가 없을 정도이다.
그런데 오늘날 관점에서 더욱 중요한 것은 세종이 소통과 포용의 리더십을 발휘하며 ‘함께하는’ 정치를 실천한 것이었다. 스스로가 대단한 능력의 소유자였음에도 세종은 독단적으로 정국을 운영하지 않았다. 백성과 직접 소통하는가 하면, 인재를 폭넓게 등용하여 이들이 마음껏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었다. 공법(貢法)이라는 토지 세법을 정할 때 17만 명에 이르는 백성들에게 직접 의견을 구했으며, 집현전을 설치하여 최고의 인재들로 하여금 국가 정책을 만들게 한 것, 천민 출신 과학자 장영실의 발탁은 세종의 소통과 포용의 리더십을 잘 보여준다. 또한 김종서, 최윤덕과 같이 국방 개척의 중심인물, 황희, 맹사성, 유관, 허조와 같은 명재상, 집현전 출신 학자들의 활약에서 세종이 추구한 리더십의 성과를 잘 확인할 수가 있다.

목록